Search

자료실

사업장내 과반노조가 없을 시,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근로자대표 및 위원 선정방법 등
  • 작성일2022/11/26 12:37
  • 조회 172
질의회시 번호 산재예방정책과-3144
회시 기관 고용노동부
내용

  【질 의】
   
   ❏ 사업장 내 2개 노조가 있으며, 모두 과반수로 조직된 노조가 아님
   1. 산보위 근로자대표 선정방법은?
   2. 산보위 위원 선정 방법은?
   3. 사측만으로 운영하는 산보위가 법적효력이 있는지?
   4. 산보위 근로자위원 중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지명방법은?
    
   【회 시】
   
   1.  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의 선임 절차 및 방법에 대해서는 「산업안전보건법」상 별도의 규정이 없으므로,
   - 근로자대표의 권한과 선출 절차 등을 전체 근로자에게 통지하고 타 후보자의 참여를 제한하지 않는 등 근로자 과반수의 대표성을 인정할 수 있는 자율적·민주적인 방법으로 선출하면 될 것임.
   
   2., 4.  「산업안전보건법」상 사업주는 사업장의 안전·보건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·의결하기 위하여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 동수로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·운영하여야 함(법 제24조)
   - 근로자위원은 근로자대표와 근로자대표가 지명하는 1명 이상의 명예산업안전감독관(위촉된 경우에 한함) 및 9명 이내의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로 구성하고(산안법 시행령 제35조제1항),
   - 사용자위원은 해당 사업의 대표자와 안전관리자, 보건관리자, 산업보건의 및 해당 사업의 대표자가 지명하는 9명 이내의 해당 사업장 부서의 장으로 구성함(산안법 시행령 제35조제2항)
   
   3.  「산업안전보건법」 제24조제1항은 사업주가 ‘사업장에 근로자위원과 사용자위원이 같은 수로 구성되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·운영하여야 한다’고 규정하고 있고 이는 강행규정이므로,
   - 사용자위원만으로 구성·운영하는 경우 적법한 산업안전보건위원회로 볼 수 없어 무효라고 판단됨.

 

(산재예방정책과-3144, 2021-06-28)

문의하기

사업장명
사업장연락처
문의자명
응답수신처
이메일 @
연락처
제목
문의내용
자동입력방지